본문 바로가기
과학

끝없는 논쟁: 세상은 결정되어 있는가? 도박사의 확률인가? : 양자역학, 양자얽힘 현상에 대하여

by 작은비움 2024. 9. 29.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FZsDuTk5y2M&t=13s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과학적 이론들이 설명하는 세계를 '상식적'이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미시세계, 즉 원자와 전자의 세계에서는 우리의 상식과는 전혀 다른 법칙들이 지배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과학사에서 대표적인 논쟁인 "결정론 대 확률론"을 중심으로, 양자역학의 발전과 그 논쟁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러더퍼드의 금속박 실험에서 시작된 원자 모형의 발견, 보어의 원자 모형이 제시하는 전자 궤도에 대한 설명, 그리고 양자역학이 도입한 확률론적 해석이 과학계를 어떻게 뒤흔들었는지 다룹니다. 또한, 아인슈타인의 반대와 존 벨의 실험까지, 이 논쟁이 과학계에 미친 영향을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러더퍼드와 금속박 실험의 시작

러더퍼드의 금속박 실험은 과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입니다. 그는 금속박에 알파 입자를 쏘았을 때, 대부분의 입자가 금속박을 그대로 통과했지만, 일부가 튕겨져 나오는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원자가 거의 빈 공간이며, 질량이 중심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러더퍼드 원자 모형이 탄생하게 되었으며, 원자핵이 매우 작은 공간에 질량이 집중되어 있다는 개념이 나오게 되었죠.

이 실험을 통해 원자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열렸지만, 전자의 궤도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았습니다. 전자가 궤도를 따라 운동하면 가속도가 발생해 에너지를 잃게 되고, 결국 원자핵으로 끌려 들어가야 한다는 이론이 고전역학의 법칙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보어는 전자가 특정 궤도에서만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보어의 원자 모형과 전자의 궤도

보어의 원자 모형은 전자가 특정 궤도에만 존재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받아 더 높은 궤도로 이동하거나 에너지를 방출하여 낮은 궤도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이론이었습니다. 이는 당시 관찰된 여러 실험적 결과를 잘 설명했지만, 여전히 전자가 어떻게 특정 궤도에서 에너지를 잃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은 부족했습니다.

고전역학의 법칙에 따르면, 전자가 궤도를 따라 운동할 때 에너지를 잃고 결국 원자핵으로 끌려가야 하지만, 보어의 모형은 이를 무시한 채 전자가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모형은 당시 과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양자역학의 도입과 확률론적 해석

고전역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양자역학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도입했습니다. 이 이론은 전자가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확률적으로 공간 전체에 퍼져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전자의 위치는 측정하기 전까지는 확률적인 상태로 존재하며, 측정 순간에만 특정 위치에서 발견된다는 것입니다.

양자역학의 도입으로 전자의 궤도 문제는 새로운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었습니다. 전자는 궤도를 따라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궤도에 존재할 확률만이 주어지며, 그 확률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해석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미시세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었지만, 이 이론은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많은 과학자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받았습니다.

아인슈타인과 양자역학의 대립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의 확률론적 해석에 강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는 유명한 말로, 자연계의 현상은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것이지, 확률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세계가 완벽하게 결정된 법칙에 의해 움직인다고 믿었으며, 양자역학이 관찰 결과를 설명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본질적으로 불완전한 이론이라고 보았습니다.

양자역학의 확률론적 해석은 물리학의 고전적인 개념들과 완전히 상반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많은 과학자들은 이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했습니다. 그러나 양자역학은 실험적으로 관찰된 결과들을 매우 정확하게 설명했기 때문에, 점차 많은 과학자들이 이 이론을 지지하게 되었습니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하이젠베르크는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를 발표하면서, 세계가 근본적으로 결정론적이지 않다는 주장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이 원리는 전자의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알면 속도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속도를 정확히 알면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는 고전 물리학에서 상상할 수 없었던 개념이었습니다. 고전 물리학에서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는 측정할 수 있는 정확한 값으로 존재한다고 생각했지만, 양자역학에서는 이 두 가지 값을 동시에 알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 원리는 미시세계에서의 관측이 근본적으로 확률론적일 수밖에 없음을 설명하며,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가 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반격: EPR 논문

아인슈타인은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양자역학에 대한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1935년 포돌스키와 로젠과 함께 EPR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이 불완전한 이론이라고 주장하며, 양자역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음을 증명하고자 했습니다.

EPR 논문에서 아인슈타인은 두 입자가 얽힌 상태에서 한 입자의 상태를 알면, 다른 입자의 상태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 현상이 국소성 원칙, 즉 물리적 작용이 빛보다 빠르게 전달될 수 없다는 원칙을 위배한다고 주장하며, 양자역학이 불완전한 이론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보어의 반론과 양자 얽힘

보어는 아인슈타인의 EPR 논문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박했습니다. 그는 양자역학에서 두 입자가 얽힌 상태에 있을 때, 한 입자의 상태를 측정하면 다른 입자의 상태도 즉각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은 정보의 전달이 아니라, 단순히 상호 연결된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양자 얽힘 현상은 두 입자가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한 입자의 상태가 결정되면 다른 입자의 상태도 동시에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양자역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이후 존 벨의 실험을 통해 실험적으로 검증되었습니다.

존 벨의 실험과 양자역학의 승리

1964년, 존 벨은 EPR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벨의 부등식을 제안했습니다. 그는 이 부등식을 통해 양자역학이 맞는지, 아인슈타인의 결정론이 맞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이후 여러 과학자들이 벨의 부등식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고, 그 결과는 양자역학의 예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1980년대 프랑스의 알랭 아스펙은 더 정밀한 실험을 통해 양자 얽힘 현상이 실제로 일어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이 실험은 아인슈타인의 결정론이 틀렸음을 확인시켜 주었고, 양자역학이 맞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이 결과는 여전히 많은 과학자들에게 충격적이었으며, 양자역학이 제시하는 세계관이 우리의 상식과는 얼마나 다른지를 다시 한번 느끼게 했습니다.

양자 얽힘과 정보의 전달

양자 얽힘 현상을 이용해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생각은 많은 SF 소설에서 다루어진 주제입니다. 《삼체》 시리즈에서도 이 개념을 바탕으로 지구와 외계 문명이 즉각적으로 소통하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양자 얽힘을 이용한 정보 전달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현재 과학의 결론입니다. 양자 얽힘을 통해 입자의 상태를 결정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곧 정보의 전달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결론: 확률론적 세계와 결정론적 세계

결국 아인슈타인의 결정론은 양자역학의 확률론에 밀려 패배했지만, 그의 주장은 여전히 많은 과학자들에게 중요한 철학적 고민을 남겼습니다. 양자역학은 세계가 확률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을 펼쳤고, 이는 고전 물리학과 완전히 다른 세계관을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확률론적 세계관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낯설고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남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