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에어비앤비 수익 신고 안 하면 큰일 납니다! 숙박공유업 세금, 10분 만에 끝장 정리

by 작은비움 2025. 3. 27.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youtube.com/watch?v=CaSWwkhQr2M

세금 신고 안 하면 국세청에 찍힌다!

2022년 국내 공유숙박 거래대금은 무려 1조 1,189억 원. 그런데 실제 세금 신고는 단 223억 원에 불과했습니다. 즉, 98%가 미신고 상태였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국세청의 세무조사 타깃이 될 수밖에 없죠.

에어비앤비나 야놀자, 부킹닷컴 등을 통해 수익을 얻고 있다면, 세금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합니다. "나만 안 하면 안 들키겠지"라는 생각은 절대 금물입니다. 이제부터 에어비앤비 숙박공유업 세금 신고, 사업자 등록, 절세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숙박공유업, 어떤 종류가 있나?

법적으로 허가받은 공유숙박업에는 다음 세 가지가 있습니다.

  •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
  • 농어촌민박업
  • 한옥체험업

하지만 허가 여부와 무관하게, 숙박 공유를 통해 수익을 올렸다면 반드시 세금 신고는 해야 합니다.

에어비앤비와 같은 공유 숙박업은 일반적으로 **업종 코드 551007(숙박 및 음식점업)**으로 분류되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숙소 대여는 이 코드로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사업자 등록, 일반과세자 or 간이과세자?

사업자 등록 시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것은 과세 유형입니다.

  •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 10% 적용
  •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2.5% 적용 (숙박업 부가율 25% × 10%)

단, 매출이 연 1억 4백만 원 미만이고, 기존 사업자가 없으며, 지역이 간이과세 배제 지역이 아닐 경우에만 간이과세자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연매출 3천만 원이라면:

  • 일반과세자: 300만 원(10%) 납부
  • 간이과세자: 75만 원(2.5%) 납부

세금 차이, 엄청나죠?


세금 종류 1: 부가가치세 신고 (1월, 7월)

플랫폼을 통해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현금이나 계좌이체로 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현금영수증 발행 의무가 있습니다. 고객 인적사항을 몰라도 **국세청 지정번호(010-0000-1234)**로 발행하면 됩니다.


세금 종류 2: 종합소득세 신고 (5월)

연간 매출이 500만 원 이하라면 기타소득으로 신고할 수 있고, 사업자 등록도 필요 없습니다.

  • 필요경비 60% 자동 인정 (매출 500만 원 → 과세표준 200만 원)
  • 단, 에어비앤비 같은 중개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수익이어야 함

매출이 500만 원을 초과하거나 정기적 수입이 있다면 반드시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사업자 등록 후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합니다.


수익과 비용, 어떤 걸 반영할 수 있나?

수익은 에어비앤비 호스트 대시보드에서 **호스팅 수익 보고서(PDF)**를 다운받아 확인하면 됩니다. 부가세 및 소득세 신고 시 이 자료를 매출 기준으로 삼으면 됩니다.

비용으로 인정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에어비앤비 수수료 (3%)
  • 임차료 (전세, 월세 등)
  • 침구, 가전, 가구, 식기류 등 초기 집기비품 구입비
  • 전기, 가스, 수도요금, 관리비 등 공과금
  • 인터넷, IPTV 등 통신비
  • 화재보험료
  • 청소비, 세탁비 (직접 청소 안 할 경우 외주 비용)
  • 샴푸, 린스, 화장지 등 소모품비
  • 광고비, 마케팅비
  • 집기 교체비

사업용 지출은 모두 영수증 챙기기 필수!


에어비앤비의 장점: 낮은 수수료, 높은 수익

에어비앤비의 호스트 수수료는 단 3%. 다른 숙박 플랫폼이 15% 내외인 점을 생각하면 엄청난 장점입니다. 다만, 수수료가 낮다고 방심하지 말고, 수익이 생겼다면 무조건 세금 신고는 필수입니다.

안 했다가 나중에 3~5년치 추징당하면, 피눈물 납니다.


결론: 숙박공유업, 절세도 좋지만 기본은 "성실신고"

에어비앤비와 같은 공유숙박 플랫폼은 이제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부업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수익이 발생했다면, 그에 따른 세금 신고와 납부는 기본 의무입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사업자 등록부터 부가세, 종소세 신고까지 꼼꼼하게 준비해보세요. 특히 간이과세자 요건 충족 여부와 기타소득 가능 조건을 잘 따져 절세 효과도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엔 실제 신고를 안 해 문제가 되었던 사례와 대처법도 함께 소개해 드릴게요.


관련 키워드: 에어비앤비 세금, 공유숙박업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신고, 숙박공유업 사업자등록, 간이과세자 조건, 기타소득 절세, 에어비앤비 수수료, 숙박업 비용처리, 현금영수증 발행, 세무조사 사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