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양자역학11 원자는 99%가 빈공간이라는데 세상은 왜 보일까? https://www.youtube.com/watch?v=hOrBrd6FroE&t=18s원자는 99%가 빈공간인데 세상은 왜 보일까?세상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배운 바에 따르면, 원자는 중심에 양 전기를 가진 원자핵이 있고, 그 둘레를 음 전기를 가진 전자가 끊임없이 돌며 운동합니다. 원자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계속해서 발전해왔고, 이제 원자핵 주변에는 전자 구름이 존재하며, 그 속에서 전자가 확률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원자는 정말로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원자의 크기에 비해 원자핵은 매우 작습니다. 예를 들어, 원자를 운동장에 비유한다면 원자핵은 모래 알갱이 하나 정도의 크기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볼 때, 원자의 대부분은 빈 공간이.. 2024. 11. 21. 양자역학과 인공지능이 만들어가는 미래: 전자 사회의 헌법을 탐구하다 (코넬대 물리학과 교수 김은아 강연) https://www.youtube.com/watch?v=VlY7KIDjeEY 이 강연은 김은아 코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의 세바시 발표로, 양자역학의 매력과 그 실험적 가능성을 탐구하며 우리에게 새로운 과학적 도전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특히 양자 다체계 이론과 초전도체, 양자 컴퓨터를 통한 연구에 대한 이야기가 중심입니다. 김 교수는 자신의 학창 시절부터의 호기심과 물리학자로서의 여정을 생동감 있게 공유하며, 과학이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험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도구임을 설명합니다. 강연을 통해 과학의 신비로움과 도전정신을 느낄 수 있으며, 우리가 사는 시대가 얼마나 특별한지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습니다.강연의 주된 내용은 양자역학의 헌법과 같은 원리를 기반으로 한 전자와.. 2024. 9. 30. 타키온의 존재로 빛의 속도 한계 무너지나! https://www.youtube.com/watch?v=BrYK9jZNlwA&t=4s 타키온은 빛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것으로 가정된 가상의 입자로, 물리학에서 매우 흥미로운 개념으로 여겨집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물질들은 빛의 속도보다 느리게 움직입니다. 하지만 타키온은 이와 반대로 빛의 속도를 넘어선다고 가정됩니다. 이 입자가 실제로 존재한다면, 이는 현대 물리학의 가장 큰 한계 중 하나인 "빛의 속도 한계"를 깨트릴 수 있을 것입니다.이 개념은 20세기 초 독일의 물리학자 아르놀트 조모펠트(Arnold Sommerfeld)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이후 1960년대에 미국의 과학자 제럴드 파인버그(Gerald Feinberg)가 "타키온"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타키온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2024. 9. 30. 양자 컴퓨터란 무엇인가? 김갑진 교수의 물리학 특강 정리 https://www.youtube.com/watch?v=gjp9301in0U 양자 컴퓨터에 대한 관심이 최근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양자역학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연산 패러다임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갑진 교수는 KAIST에서 최근 양자 컴퓨터와 관련된 강연을 통해 양자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그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며, 기존 컴퓨터와는 다른 양자 컴퓨터만의 독특한 작동 방식을 알기 쉽게 풀어주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김갑진 교수의 강연 내용을 바탕으로 양자 컴퓨터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핵심 원리와 앞으로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해보겠습니다.양자역학과 양자 컴퓨터양자역학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고전물리학과는 매우 다른 특성을 지닌 분야입니다. 고전적인 물.. 2024. 9. 29.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