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동서양 건축의 차이 이해하기 (셜록 현준, 2021.11.3)

by 작은비움 2024. 10. 3.
반응형

건축은 단순한 구조물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그것은 문화, 환경, 그리고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반영합니다. 오늘은 동서양 건축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기후와 재료 선택, 그리고 문화적 가치관에서 기인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v22sqsKxwE

 

1. 기후와 건축의 시작

동서양 건축의 첫 번째 차이는 기후에서 시작됩니다. 강수량이 1,000mm를 초과하면 사람들이 쌀을 재배하게 되고, 그보다 적으면 밀을 재배하게 됩니다. 한국의 경우 연 강수량은 약 1,350mm로 쌀을 재배합니다. 유럽에서의 강수량은 약 850mm로 계절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는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가장 초기의 문명과 건축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생했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나무가 자라지 않기 때문에 점토로 구운 벽돌이 건축 재료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벽에 중점을 두고 건축이 이루어졌습니다. 중동 지역에서는 비가 적기 때문에 지붕은 평평하고 작은 창문이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건물이 많았습니다.

중동 지역의 건축 모습

2. 서양 건축의 특징

서양 건축의 특징 중 하나는 작은 창문입니다. 부유한 사람들이 큰 건물을 지을 때 벽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큰 창문을 만들면 붕괴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형 건물에서는 높은 세로 창문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베르사유 궁전은 세로로 긴 창문이 특징입니다.

반면, 아시아 건축은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목재를 많이 사용합니다. 한국의 경우,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에 목재가 젖어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둥 밑에 돌을 놓고, 바닥을 높여 바람이 통하게 하여 습기를 제거합니다.

한국 전통 건축의 기둥과 바닥 구조

3. 창문의 크기와 마을 풍경

아시아에서는 목재 기둥을 사용하여 기둥 사이에 큰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중국의 종이를 수입하여 창문 재료로 사용하여 큰 창문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여름철에는 종이로 만든 창문을 접어 천장에 걸 수 있어 신선한 공기가 순환됩니다.

서양에서는 작은 창문과 나무 셔터를 사용했습니다. 중세 시대에는 유리창이 사용되기 전까지 나무 셔터로 창문을 막아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건물의 외관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서양 건축의 작은 창문과 외관

4. 내부와 외부의 연결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흐리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낮은 울타리가 있어 외부 경관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는 자연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옥에서는 창문과 통마루가 있어 외부 경관을 쉽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서양 건축은 높은 벽으로 보호되며, 외부 경관보다 내부 공간의 안전성을 중시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건축물의 설계와 마을 풍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 전통 건축의 외부 경관

5. 전통과 현대의 조화

전통 한국 건축에서 사용되는 단청은 자연의 색을 모방한 것입니다.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어 자연과의 연결을 강화합니다. 예를 들어, 불국사에서 볼 수 있는 단청은 자연의 색조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색상은 내부에서 봤을 때 자연이 내부로 흘러들어오는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불국사의 단청

6. 한국의 높은 탑과 일본의 성

한국의 탑은 높지 않지만, 이는 건축과 조각의 차이 때문입니다. 탑은 사람들이 살기 위한 구조물이 아니기 때문에 높게 쌓을 수 있습니다. 반면, 일본의 성은 지진으로 인해 구조가 가벼워져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각 문화의 건축적 특성과 기후의 영향을 나타냅니다. 한국의 건축은 기후와 환경을 고려하여 발전해 왔으며, 현대에도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본 성의 구조

결론

오늘 우리는 동서양 건축의 차이점을 살펴보며 기후, 재료, 그리고 문화적 가치관이 건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구조물의 형태를 넘어, 각 문화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건축 이해를 이어가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