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모든 불행의 뿌리는 '두려움'이다, 그래서 해결책도 하나다

by 작은비움 2025. 3. 15.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youtube.com/watch?v=Zk3Oa5nf5nw&t=316s

감정의 본질은 '두려움', 그 근원을 이해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화, 짜증, 분노, 불안, 우울 등 다양한 감정을 겪습니다. 하지만 김주환 교수는 이 모든 감정의 뿌리가 '두려움'이라고 말합니다. 감정의 다양성은 마치 비의 종류가 다양한 것과 같지만, 결국 모두 '하늘에서 내리는 물'이라는 본질은 같다는 설명입니다.

화는 강한 감정처럼 보이지만, 사실 두려움의 또 다른 표현입니다. 강아지가 작고 약할수록 잘 짖는 것처럼, 인간도 두려움이 클수록 분노로 대응합니다. 결국, 두려움을 다루는 것이 감정을 다스리는 첫걸음이 됩니다.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은 뇌의 영역도 다르다

김 교수는 뇌과학적으로도 감정을 구분합니다. 부정적 감정은 편도체 활성화에 의해 발생하고, 긍정적 감정은 전전두 피질의 작용에 의해 생성됩니다. 즉, 짜증·분노는 본능적 반응이고, 감사·사랑·존중은 사고의 결과입니다.

긍정적 감정을 키우기 위해서는 두려움을 잠재우고 전전두 피질을 활성화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자기 존중, 자기 긍정, 타인에 대한 감사를 통해 긍정적 감정의 회로가 더 쉽게 작동하게 됩니다.

편도체를 안정화시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 '몸의 자세'

편도체는 무의식의 뇌입니다. “마음을 편하게 먹자”는 말만으로는 소용없습니다. 대신 몸의 자세를 바꾸면 편도체가 바뀝니다.

  • 주먹 꽉 쥐기 → 두려움 강화
  • 승모근 들기 → 편도체 활성화
  • 인상 쓰기, 턱 근육에 힘주기 → 감정 긴장 유발

반대로,

  • 어깨 내리기, 배 풀기, 턱 이완 → 두려움 해소
  • 눈에 힘 풀기, 아래턱 자연스럽게 내리기 → 편도체 안정화

이러한 '몸의 신호'를 통해 무의식에 “지금은 위기 상황이 아니다”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이 습관을 일상화하면 감정의 폭풍 속에서도 중심을 잡을 수 있습니다.

전전두 피질을 활성화하는 '자기 긍정 훈련'

전전두 피질은 인간의 사고와 판단, 집중을 담당하는 영역입니다. 이를 활성화하려면 다음과 같은 자기 긍정 훈련이 필요합니다:

  • 자기 용서
  • 자기 연민
  • 자기 사랑
  • 자기 수용
  • 자기 감사
  • 자기 존중

놀랍게도, 자기 긍정이 높아지면 타인에 대한 존중과 감사도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반대로 타인을 무시하는 사람은 스스로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험을 앞둔 학생, 실전에 나서는 선수들도 이 훈련을 통해 최고의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명상은 '특별한 행위'가 아닌 '지금 이 순간의 알아차림'

명상은 눈 감고 앉아서 해야 하는 특별한 일이 아닙니다.

  • 걷기 명상
  • 먹기 명상
  • 수영 명상
  • 움직임 명상 (요가)

이 모든 것이 '지금 내 몸과 감각을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명상은 편도체 안정화와 전전두 피질 활성화 모두에 효과적입니다.

수면장애, 불안, 건강강박… 모두 '두려움의 또 다른 얼굴'

잠을 못 자는 것도, 건강식에 집착하는 것도 본질은 두려움입니다. 우리는 너무나 많은 것을 갖기 위해, 놓치지 않기 위해 불안에 시달립니다. 하지만 행복은 이미 갖고 있는 것을 원하는 것입니다. 갖고 싶어서 행복한 것이 아니라, 지금 있는 것에 만족해야 행복이 됩니다.

10억을 벌어서 행복해지는 것이 아니라, 10억이 없어도 행복한 마음이 먼저 있어야 합니다. 조건 없는 행복, 무조건적 행복(Unconditional Happiness)은 결국 내 마음의 선택입니다.

결론: 두려움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천

  • 첫째, 내 몸의 자세를 자주 체크하고 긴장을 푸세요.
  • 둘째, 자기 긍정 훈련을 습관화하세요.
  • 셋째, 일상 속 명상으로 뇌를 안정화하세요.
  • 넷째, 수면과 건강을 위해 불필요한 집착을 내려놓으세요.

행복은 성취의 결과가 아닙니다. 내가 지금 이 순간에 얼마나 편안한가에서 시작됩니다. 지금, 나의 몸에 집중해 보세요. 그것이 불행의 굴레를 끊는 첫 걸음입니다.


감정조절,편도체 안정화,두려움 극복,김주환 교수,마음근력,자기긍정훈련,전전두피질,행복의 조건,명상 실천법,수면장애 극복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