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aJSnftQ6ZqY&t=12s
"그냥 덜렁대는 성격이겠지"… 놓치기 쉬운 성인 ADHD의 단서들
핸드폰을 어디 뒀는지 기억이 안 나고, 카드지갑은 매일같이 찾고, 집안은 늘 어수선한 채로 방치되기 일쑤. 누구나 한 번쯤은 겪는 이런 일상 속 불편함. 하지만 이런 행동이 반복되고 삶을 망가뜨린다면 단순한 ‘덜렁거림’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특히 어릴 때 ‘산만하다’, ‘정리가 안 된다’는 얘기를 듣고 자란 사람이라면, 성인이 되어서도 업무 집중력 부족, 감정조절 장애, 충동적인 행동 등 다양한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이를 우리는 '성인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라고 부릅니다.
감정기복, 욱함, 충동… 사실은 질병일 수 있다
성인 ADHD의 대표적인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자주 물건을 잃어버림
- 정리 정돈에 어려움
- 충동적 행동, 감정 조절 어려움
- 회의 중 집중력 저하, 산만함
- 약속 잊기, 계획성 부족
이러한 행동을 단순한 성격 문제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 사람들이 ‘주의력 산만’은 성격, ‘충동성’은 정신질환으로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성인 ADHD는 명백한 신경발달 장애로,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우울증, 공황장애, 알코올 중독까지… 방치가 불러오는 참사
치료받지 않은 성인 ADHD는 다양한 공존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국내 조사에 따르면 성인 ADHD 환자의 84%가 최소 1가지 이상의 정신 질환을 함께 앓고 있으며, 45%는 세 가지 이상을 경험합니다.
대표적인 공존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우울증
- 불안 장애
- 충동 조절 장애 (분노 조절 문제)
- 알코올 및 기타 중독성 질환
특히 ‘욱하는 성격’, ‘자존감 저하’, ‘잦은 실수’로 인한 실패 경험은 심각한 우울감을 불러오고, 치료되지 않으면 이혼, 실업, 사회 고립, 심지어 범죄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전과 환경이 만든 결과, ADHD는 뇌의 문제다
성인 ADHD는 단순히 ‘정신적인 나약함’이 아닙니다. 실제 연구에서는 ADHD 환자의 뇌 구조가 일반인과 다르며, 전전두엽, 전대상피질 등의 기능 저하가 관찰됩니다. 특히 도파민 시스템의 이상은 충동성과 집중력 저하의 주된 원인입니다.
유전적 요인도 강력합니다. 성인 ADHD의 유전 확률은 80% 이상이며, 부모가 ADHD라면 자녀에게서도 높은 확률로 발병합니다. 여기에 환경 호르몬인 프탈레이트가 뇌 발달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도 있어, 환경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국내 성인 ADHD 유병률은 4.4%, 치료율은 고작 1% 미만
놀랍게도 국내 성인 ADHD 치료율은 1%도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를 질환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병원을 찾지 않기 때문입니다.
서울 시민 317명을 대상으로 한 자가진단 설문 결과에서도, 무려 18.3%가 ADHD 의심군에 속했습니다. 특히 40대가 가장 높은 비율(29.2%)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30대(23.8%)였습니다.
"약을 먹고 나서야 삶이 달라졌어요"… 치료 사례의 변화
실제 방송에 소개된 환자 김원 씨는, 수십 년간 자신을 ‘의욕 없는 사람’, ‘무기력한 사람’으로 여겼습니다. 이혼, 알코올 중독, 자살 충동까지 겪으며 극단의 삶을 살던 그는 ADHD 치료를 시작하면서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이제는 책도 읽을 수 있고, 대화도 집중해서 할 수 있어요. 제가 저를 이해하게 됐어요."
그의 사례는 성인 ADHD 치료가 얼마나 삶의 질을 바꿀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단순한 약 복용이 아닌, 자신의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결론: 지금 우리 주변에도 ‘조용한 ADHD’가 있다
정리 정돈 못하는 동료, 늘 감정 기복 심한 친구, 집중을 잘 못하는 배우자. 그저 ‘게으르다’, ‘성격 문제다’라고 넘겨짚기 전에, 그 안에 숨겨진 ‘성인 ADHD’의 가능성을 고려해 봐야 합니다.
치료는 단순한 약물치료만이 아닙니다. 진단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뇌를 조율하는 과정입니다.
지금 ‘나 자신’ 혹은 ‘내 가족’의 이상 행동이 있다면, 그저 성격 탓으로 치부하지 말고 전문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ADHD는 치료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인식과 관심의 시작입니다.
관련 키워드:
성인ADHD,조용한ADHD,주의력결핍,충동조절장애,우울증,불안장애,프탈레이트,ADHD치료,감정기복,자존감문제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리 휑한 사람을 위한 한 끗 차이 탈모샴푸 추천, 두피케어 핵심은 '약산성' (0) | 2025.03.17 |
---|---|
탈모샴푸 써도 머리 안 난다? 진짜 중요한 건 따로 있다! (0) | 2025.03.17 |
무릎 통증이 있을 때, 해야 할 운동과 하면 안 되는 운동 총정리 (0) | 2025.03.09 |
무릎이 아플 때 꼭 맞아야 하는 주사와 영양제, 효과적인 관리법 (0) | 2025.03.09 |
통증약, 제대로 알고 먹자! 의사가 추천하는 최고의 진통제와 피해야 할 약 (0) | 2025.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