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쉬는' 청년 25% ↑‥"원하는 일자리 못 찾아" (2024.12.02/12MBC뉴스)

by 작은비움 2024. 12. 2.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JD3gD3vq7e4

 

쉬는 청년층 증가, 고용 시장의 새로운 과제

올해 들어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쉬고 있는 청년층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이는 고용 시장의 악화와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쉬는' 청년층의 증가는 단순한 개인 문제를 넘어, 국가 전체의 노동 시장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이 현상의 원인과 문제점을 짚어봅니다.


쉬는 청년층, 1년 새 25% 증가

한국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비경제활동 인구 중에서도 ‘쉬었음’ 인구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층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 올해 3분기 기준 쉬는 청년층은 42만 2천 명으로, 전년 대비 25% 이상 늘어났습니다. 이는 전체 쉬었음 인구의 **30%**에 육박하는 수치입니다.

더욱 주목할 점은, 쉬는 청년층 대부분이 이미 취업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노동시장에 진입조차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일자리를 경험한 뒤 구직 활동을 중단한 사례가 많아졌다는 점에서 노동 시장의 심각한 구조적 문제를 시사합니다.


쉬는 이유: 일자리 미스매치와 고용 시장 악화

쉬고 있는 청년층 중 72.8%가 비자발적으로 쉰다고 답했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게으르거나 무기력해서 쉬는 것이 아닙니다. 주된 이유는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 일자리 미스매치
    청년들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와 실제 제공되는 일자리 간의 괴리가 존재합니다.
  2. 경력직 및 수시 채용 선호
    기업들이 신입보다 경력직과 수시 채용에 더 집중하면서 청년들의 진입 기회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3. 경기 악화와 고용 둔화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는 기업들의 고용 여력을 제한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장기화의 위험: 노동 시장에서의 영구 이탈 가능성

쉬는 청년층의 증가가 가장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은 장기화의 위험성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비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청년 중 1년 이내의 근로 희망 비율은 **90%**에 달하지만, 1년 이상 장기화되면 이 비율은 50% 이하로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 현상은 청년층이 노동 시장에서 점차 멀어지며 영구적으로 이탈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이는 청년층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생산성과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향후 과제와 대책

청년층의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합니다.

  1. 양질의 일자리 창출
    청년층의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와 함께, 직업훈련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2. 일자리 매칭 시스템 개선
    청년층과 기업 간의 연결을 강화하는 매칭 플랫폼을 활성화하고, 청년층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3. 정책적 지원 확대
    고용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신입 채용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기업들이 청년 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결론

쉬는 청년층의 증가는 단순히 일자리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노동 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직결된 중요한 사안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노력을 넘어, 정부와 기업, 사회 전반의 협력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지속 가능한 고용 정책과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만 청년들이 노동 시장에 안착하고, 한국 경제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