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seACuCXRUDk
외교부, 신민경 채용 무기한 연기... 감사원 감사 요청까지
최근 외교부가 신무영 전 외교관의 딸 신민경 씨의 채용을 무기한 연기하고 감사원에 감사를 요청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정치권과 국민 사이에 뜨거운 논란이 번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튜브 채널에서는 신민경 씨의 채용 과정이 과연 공정했는지에 대한 의혹과 비판이 집중적으로 제기되었다.
영상 속에서는 신 씨가 서울대 출신도 아니고, 외무고시 출신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외교부 채용에서 우대받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그녀의 아버지가 과거 LA 총영사관에서 근무했던 시절의 인맥이 이번 채용에 영향을 준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이는 단순한 채용 논란을 넘어 외교 관료층의 세습 문제, 즉 "외교관의 자녀가 또 외교관이 되는 카르텔 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이어지고 있다.
조민은 털고, 신민경은 왜 안 털었나?
영상에서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 조민 씨와 신민경 씨의 사례를 정면 비교한다. 조민 씨는 입시 비리 의혹 이후 실명 공개, 고등학교 생활기록부 유출, 자택 취재, 외제차 보도 등으로 온갖 언론과 수사기관의 표적이 되었던 반면, 신민경 씨는 거의 모든 측면에서 철저히 보호받고 있다는 사실이 표로 정리되며 비판된다.
- 실명 보도: 조민은 13일 만에, 신민경은 74일이 지나도 보도 1건
- 검찰 수사: 조민은 수사 및 기소, 신민경은 수사조차 없음
- 압수수색, 기자회견, 기자 취재, 학교·차량 탐문: 조민은 전방위, 신민경은 전무
이런 비교는 단순한 ‘자녀 특혜’의 문제가 아니라, 검찰과 언론의 이중적 태도, 다시 말해 '털 사람만 턴다'는 선택적 정의에 대한 분노를 야기한다.
외교부의 채용과정도 의심투성이
영상에서는 신민경 씨가 실제로 외교부에 합격하는 과정 자체도 의문투성이라고 말한다. 애초에 채용공고는 "경제학 전공자"를 뽑는 것으로 되어 있었고, 이미 이에 부합하는 실무 경력자(경력 2년 이상)도 합격한 상태였다는 것. 그런데突如 신민경 씨가 최종 합격자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기존 합격자에게는 "한국어가 서툴다"는 이유로 불합격 통보를 내렸다고 하며, 이는 누가 봐도 납득하기 힘든 사유라는 지적이다.
또한, 신 씨가 받은 유엔 인턴 경력, 봉사활동 이력 등도 마치 외무고시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외교부에 입성하기 위한 **'프랜 세팅'**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민주당-검찰 커넥션 프레임의 붕괴와 허재현 기자 사건
영상 후반에는 또 다른 사례인 허재현 기자 사건이 언급된다. 윤석열 대통령의 명예훼손 사건 수사와 관련해 허 기자는 자택 현관문까지 뜯기는 압수수색을 당하며 새벽 난닝구 체포라는 모욕적인 상황을 겪었다. 검찰은 그가 민주당과 공모해 허위 보도를 했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공모 관계를 입증할 수 없다고 판단했고, 이에 검찰은 슬그머니 "그 주장은 철회하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그러나 이미 압수수색과 언론플레이는 끝난 뒤였고, 허 기자가 당한 피해는 돌이킬 수 없는 수준이었다. 이는 법적 근거 없이 '찍어놓고 수사하는 방식'이 얼마나 위험하고 일방적인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선택적 수사와 언론의 침묵, 청년들의 분노를 부른다
영상은 결국 현재 대한민국의 구조적 불공정함, 특히 고위층 자녀를 둘러싼 특혜 문제, 검찰의 선택적 수사, 언론의 침묵을 강도 높게 질타한다. 특히 20~30대 청년들은 이런 일련의 사건을 통해 "우리에게 기회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깊은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청년 세대의 정치적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조국 전 장관에 대해 과거에 비판적이었던 진보 지식인들과 언론인들이 이번 신민경 사건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그들은 어디 갔느냐"며 날 선 비판을 던진다.
결론: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공정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한 사람의 채용이 취소되었느냐 아니냐의 문제가 아니다. 청년들의 분노는 "공정한 경쟁"이라는 대전제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데에 있다. 외교부든, 검찰이든, 언론이든, 국민 앞에 같은 기준으로 서야 한다.
조국 사태 때와는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이는 지금의 언론과 수사기관이 과연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제기된다. 이젠 누군가를 까는 게 아니라, 모두를 까야 공정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관련 키워드: 조민,신민경,외교부 채용 비리,외교관 세습,검찰 선택적 수사,조국 사태,허재현 기자,명예훼손 사건,언론 이중잣대,청년 세대 분노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불 뒤에 외국인 노동자? 혐오와 음모론이 더 무섭다 (0) | 2025.04.03 |
---|---|
난파선에서 도망치는 쥐떼들? 이복현의 갑작스러운 사의 표명과 신협 5조원 돈세탁 의혹 (2) | 2025.04.03 |
탄핵 후 아크로비스타행? "지하 벙커 수준" 자택, 반드시 압수수색해야 하는 이유 (0) | 2025.04.03 |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마찬가지' 4월 4일 탄핵 선고, 정말 우연일까? (0) | 2025.04.03 |
"대통령이 문 부숴서 끄집어내라"... 녹취 33건 공개로 드러난 충격적 지시 정황 (0)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