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BLTlVkJ4Y0k&t=250s
돈이 눈을 멀게 하는 게 아니다, 뇌가 마비되는 것이다
"돈 앞에 장사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뇌과학적으로 보면 돈 앞에서는 눈이 먼 게 아니라 뇌가 마비됩니다. 이 말은 단순한 비유가 아닙니다. 실제로 큰 보상이 걸리면 우리 뇌의 보상 시스템이 과도하게 작동하면서 도파민이 대량 분비되고, 이로 인해 이성적 판단보다 감정적 결정을 내리기 쉬워집니다.
그 결과, 평소라면 분명히 보이는 사실조차도 보이지 않게 되고, 오직 보상에만 집중하는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마치 도파민의 바다에 빠진 뇌는 제어 능력을 상실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것이죠.
반복 노출된 정보는 뇌가 진짜라고 착각한다
가짜 정보에도 쉽게 속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반복입니다. 뇌는 특정 정보가 반복해서 등장하면 그 진위를 판단하기보다 단순히 '자주 보이니까 진짜일 거야'라고 착각하게 됩니다. 실제로 환경운동가들에게 반복적으로 가짜 뉴스를 노출한 실험에서, 처음에는 의심했던 사람들이 점차 그 내용을 사실처럼 받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확정적인 표현—예를 들면 "100% 확실합니다", "무조건 오릅니다"—을 사용할수록 사람들은 더 쉽게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가능성과 확률을 이야기하지만, 사기꾼들은 단정적인 언어를 씁니다. 문제는 우리의 뇌가 단정적인 말을 더 신뢰한다는 점입니다.
뇌는 지름길을 좋아한다, 그래서 속기 쉽다
우리 뇌는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게으른 판단을 선호합니다. 사고하고 비판적으로 따지는 데 드는 에너지를 절약하려고, 신뢰하는 정보원이 생기면 그 사람 말만 믿으려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그래서 유명 전문가, 인기 유튜버, 혹은 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들의 말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며, 결과적으로 정보의 다양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잘못된 판단을 내릴 위험이 커집니다.
도파민 폭주와 충동 통제의 붕괴
큰 돈이 눈앞에 나타나면, 뇌는 강하게 반응합니다. 도파민이 폭발적으로 분비되며, 잠재적 보상에만 과도하게 집중하게 됩니다. 동시에 세로토닌 등 자제력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은 억제됩니다. 그 결과:
- 확률을 비정상적으로 높게 판단하게 되고
- 위험에 대한 경계심은 줄어들며
- 충동 조절이 어렵게 됩니다
또한 뇌의 감정 중추인 편도체가 과활성화되면서, 공포와 탐욕이 동시에 증폭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이성적인 판단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불법 리딩방은 이 뇌의 약점을 정확히 파고든다
불법 리딩방은 이러한 뇌의 메커니즘을 정교하게 이용합니다.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유명인을 사칭하거나 상장 예정 비상장 주식을 미끼로 삼아 사람들을 유혹합니다. 핵심은 언제나 같습니다. 바로, 당신도 대박을 낼 수 있다는 달콤한 유혹입니다.
속지 않기 위한 세 가지 훈련법
1. 선제적인 면역 반응을 준비하라
정보에 속지 않기 위해서는 뇌에도 '백신'이 필요합니다. 즉, 이런 유형의 가짜 정보, 불법 투자 권유, 사기 메시지 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실제로, 정보에 "이건 신뢰할 수 없는 소스입니다"라는 주석만 달아도 사람들은 덜 속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의심을 시작하는 순간, 뇌의 방어 기제가 작동합니다.
2. 다양한 정보원을 접하라
정보는 다양하게 접해야 합니다. 영상 하나, 유튜버 한 명의 말만 믿는다면 뇌의 정보 회로가 단순화되며, 비판적 사고 능력이 떨어집니다.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받아들일 때, 뇌는 신경 가소성을 높이며 사고력과 공감 능력을 동시에 키워줍니다.
3. 급할수록 멈춰라, 그리고 생각하라
가장 위험한 순간은 "지금 아니면 안 된다"는 압박이 들어올 때입니다. 이때는 도파민이 폭주하고, 평정심은 사라지며, 감정적 판단이 우선시됩니다. 이럴수록 잠깐 멈추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퇴사, 이직, 투자 등 인생의 중요한 결정을 화가 나거나 불안한 상태에서 내리면 후회할 확률이 높습니다. 하루만 시간을 두고 다시 생각해 보는 것만으로도 전혀 다른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탐욕을 내려놓는 훈련이 필요하다
작은 탐욕을 내려놓는 일상 훈련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음식이 앞에 있을 때 양보해 보는 것, 돈 관련 쇼츠 영상만 소비하지 않는 것 등이 모두 뇌의 자제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한민국의 구조적 불안과 사기의 확산
2023년 OECD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은 무려 40.4%로, OECD 1위입니다. 이런 불안한 노후에 대한 심리가 사기범들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60대 평균 자산은 5억 원 수준인데, 노후 자금으로는 10억 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심리를 악용해 연간 7천억 원에 이르는 피해를 낳는 불법 리딩방 사기, 이제는 사회적 문제입니다.
결론: 기회는 내가 만든 것만 진짜다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는 말합니다. "좋은 기회는 누구에게나 오지만, 그 기회가 내가 만든 것이 아닐 경우 오히려 재앙이 될 수 있습니다."
즉, 갑자기 뚝 떨어진 로또 같은 기회는 뇌를 마비시켜 탐욕과 공포로 이끌 수 있습니다. 반면, 스스로의 노력과 평정심 속에서 만들어 낸 기회는 뇌도 준비가 되어 있어 그 기회를 온전히 누릴 수 있습니다.
가짜 정보와 유혹이 넘치는 시대, 가장 중요한 건 속지 않는 뇌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 시작은 의심하는 습관, 다양한 정보 접하기, 그리고 멈추고 생각하는 연습입니다.
노후불안,리딩방사기,뇌과학,도파민,충동조절,가짜뉴스,정보판단,불법투자,탐욕심리,사기예방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의 적"에서 "슈퍼푸드"로…돼지 기름, 알고 보니 8위? (0) | 2025.04.11 |
---|---|
스트레스는 독이 아니다? 뇌가 진짜 원하는 '휴식'의 과학적 비밀 (2) | 2025.04.06 |
암세포 씨까지 말리는 방법? 김훈하 약사가 밝힌 말기암 생존의 비밀 (0) | 2025.04.06 |
머리 점 제거, 레이저로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 수술은 이제 '마지노선'일 뿐! (0) | 2025.03.20 |
수면마취 없이도 통증 없이? 피부과 시술의 새로운 방법 공개! (0) | 2025.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