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8CQiSY0H4gg
통일미의 역사와 아프리카에서의 새로운 전성기
통일미는 한국의 식량난을 해결한 역사적인 쌀 품종입니다. 하지만 최근 아프리카 대륙에서 새로운 활약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통일미의 탄생 배경, 한국에서의 쇠퇴, 그리고 아프리카에서의 부흥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통일미 탄생의 배경
1960년대 초, 한국은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1인당 GDP가 100달러에 불과하며, 6개국 중 91위에 해당하는 최하위권 국가였습니다. 이 시기에 재외동포의 유입과 베이비 붐으로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식인 쌀 소비량도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국내 농가에서는 일제 강점기 때 반입된 자포니카 종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는 맛은 좋지만 생산이 까다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쌀 생산량이 소비량을 따라잡지 못해 심각한 식량난이 발생했습니다. 부족한 양곡을 외화로 구입하다 보니 다른 산업의 발전에도 지장을 주었고, 결국 국가 차원에서 쌀 절약 운동을 주도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쌀 자급자족을 목표로 한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통일미의 탄생
1960년대 중반, 기존 자포니카 종과 인디카 종의 교배에 성공하여 통일벼가 탄생하게 됩니다. 이 통일미는 기존 쌀보다 30% 이상 높은 생산량을 기록하며 한국의 쌀 자급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1976년에는 한국이 처음으로 쌀 자급률 100%를 달성하게 됩니다. 이후 일본을 제치고 벼 수확량 세계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인도네시아에 7만 톤의 쌀을 대여할 만큼 쌀 생산이 풍족해졌습니다.
이 시기 한국에서는 쌀 막걸리 제조 금지령이 해제되며 축제 분위기가 조성되었습니다. 수년 만에 마시는 쌀 막걸리의 인기는 대단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승승장구 하던 통일벼도 위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통일미의 쇠퇴
경제가 나아지면서 소비자들의 입맛이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소비자들은 양보다 질을 중시하게 되었고, 통일미는 인디카종 유전자의 영향으로 찰기가 없고 푸석한 식감 때문에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통일미는 점차 '맛없는 쌀'로 인식되며 외면받기 시작했습니다.
농업 기술도 발전하면서 통통하고 찰진 자포니카 종의 재배가 더 쉬워지자, 통일미는 자연스럽게 자취를 감추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통일미가 사라졌지만,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통일미가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의 통일미의 부흥
오랜 기간 식량난에 시달려온 아프리카는 최근 주식이 쌀로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쌀로 만든 음식이 국민 음식으로 자리 잡으며, 매년 쌀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금 여건은 여전히 낮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은 2년 전 세계 식량 계획에 동참하여 '라이스 벨트' 사업을 시행했습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현지에 맞춰 개량한 통일벼 종자 2000톤을 아프리카에 투입했습니다. 단순히 벼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농사법과 장비까지 공유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아프리카의 식량 자금을 높일 계획입니다.
농사법의 혁신
아프리카에서는 이양 재배를 하고 있지만, 임의로 이양하는 경우가 많아 관리가 어렵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한국식 모주를 활용하게 되면 일정한 간격으로 모를 심을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통일벼의 특성들이 아프리카의 기후와 잘 맞아떨어지며, 현지에서는 프리미엄 쌀로 공급되거나 현지 품종에 비해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이익과 아프리카의 미래
한국이 아프리카에서 얻는 수혜는 무엇일까요? 바로 비료, 농약, 농기계 등의 농자재 수출 및 해외 일자리 창출입니다. 생산 과정에서 한국의 농기계, 특히 이양기와 건조기 같은 것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중소 업체의 생산 제품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양국 간의 윈윈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아프리카 14개국이 케 라이스 벨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3천만 명에게 안정적으로 식량을 공급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렇게 아프리카에서 큰 활약 중인 통일벼는 과거 한국의 주린 배를 채워주었던 그 쌀입니다.
결론
통일미는 한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며,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활약상이 더욱 기대됩니다.
오늘 저녁은 뜨끈한 백반과 함께 통일미를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막뉴스] 中 정부 말과 현실 '딴판'...'감염자 폭증' 최대 고비 임박 / YTN (0) | 2025.01.13 |
---|---|
타이완 덮친 '이례적 한파'...추위에 사망자 500명 육박 [지금이뉴스] / YTN (0) | 2025.01.13 |
겨울 딸기, 그 비밀을 파헤치다 - 요즘 딸기 왜 이렇게 비쌈? 논산 딸기연구소에 직접 물어봤습니다. [갓 나온 맛도리 EP.108] / 스브스뉴스 (0) | 2025.01.13 |
동남아 갔다 '연락두절' 속출…대규모 인신매매? / SBS / #D리포트 (0) | 2025.01.10 |
몰락하는 중국 경제, 시진핑의 '2가지' 승부수! l 안유화 경제전문가 l 혜윰달, 생각을 비추다 (0) | 2025.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