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파시즘3

한국 교육이 만들어낸 '파시즘'의 내면화, 그리고 그 해법은? https://www.youtube.com/watch?v=KZRmQ3D0vN0한국 사회의 교육 시스템, 파시즘의 씨앗을 심다최근 중앙대학교 김누리 교수님의 강연에서 한국 교육 시스템의 심각한 문제를 지적하는 발언이 있었습니다. 교수님은 한국 사회에서 12년간의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성숙한 민주주의자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파시즘’의 핵심 원리인 경쟁, 우열, 지배를 내면화하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교육 시스템이 어떻게 한국 사회의 엘리트들에게 파시즘적 성향을 심어주었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파시즘의 세 가지 원리: 경쟁, 우열, 지배김 교수님은 파시즘의 핵심적인 세 가지 원리로 ‘경쟁’, ‘우열’, 그리고 ‘지배’를 꼽았습니다.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12년 동안 학생.. 2025. 3. 23.
도서 리뷰 : 오르테가 이 가세트 '대중의 반역' 스페인 철학자 오르테가 이 가세트가 '대중의 반역'(La Rebelión de las Masas)을 쓰게 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역사적, 사회적, 철학적 요소들이 있습니다. 이 책은 1929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며, 당시 유럽 사회와 세계적인 변화에 대한 그의 깊은 우려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64537 대중의 반역이러한 대중의 지배가 유럽사와 세계사에 초래할 결과들을 내다보며, 문명사적인 분석을 통해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대처방안이 무엇인지를 역설하는 책이다. 그에 따르면 역사의 주체는 개별www.aladin.co.kr 1. 제1차 세계 대전 후의 사회적 혼란제1차 세계 대전(1914-1918)은 수천만 명의 사상.. 2024. 8. 6.
호르크하이머 '도구적 이성 비판' : 돈을 제외하고는 아무런 목표가 없는 사회 https://www.youtube.com/watch?v=FMsuZS-DMpk 돈을 제외하고는 아무런 목표가 없는 사회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돈'을 인생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생존을 넘어서, 모든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며, 돈이 없다면 인생의 의미조차 찾기 어렵다고 느끼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특히, 최근 경제 유튜버 슈카님의 영상에서 소개된 일본 출장에서의 경험은 이러한 문제를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모든 질문이 돈으로 귀결되는 상황에서 그는 현타를 느꼈다고 합니다. 이렇듯 현대 사회에서 돈이 모든 가치의 척도가 되어버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에 대해 철학자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 비판'을 통해 분석해보겠습니다.현대 사회의 도구적 이성호르크하이머는 그의 저서 '도.. 2024. 7. 2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