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한국 교육이 만들어낸 '파시즘'의 내면화, 그리고 그 해법은?

by 작은비움 2025. 3. 23.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youtube.com/watch?v=KZRmQ3D0vN0

한국 사회의 교육 시스템, 파시즘의 씨앗을 심다

최근 중앙대학교 김누리 교수님의 강연에서 한국 교육 시스템의 심각한 문제를 지적하는 발언이 있었습니다. 교수님은 한국 사회에서 12년간의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성숙한 민주주의자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파시즘’의 핵심 원리인 경쟁, 우열, 지배를 내면화하게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교육 시스템이 어떻게 한국 사회의 엘리트들에게 파시즘적 성향을 심어주었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습니다.

파시즘의 세 가지 원리: 경쟁, 우열, 지배

김 교수님은 파시즘의 핵심적인 세 가지 원리로 ‘경쟁’, ‘우열’, 그리고 ‘지배’를 꼽았습니다.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12년 동안 학생들에게 이 세 가지 원리를 몸에 배게 합니다. 이 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사회적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과 우열을 나누고, 강자에게 복종하는 태도를 배게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본래의 민주주의적 가치와는 상반되는, 권위주의적 성향을 강화시키는 결과를 낳습니다.

한국 사회의 엘리트, 파시즘을 내면화하다

김 교수님은 한국 사회의 엘리트들이 바로 이러한 교육을 통해 ‘파시스트적인 성향’을 내면화했다고 말합니다. 특히, 과거의 군사독재 시절부터 형성된 권위적인 사회 구조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엘리트들이 현재 한국 사회의 중요한 결정권을 쥐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그들의 태도와 사고방식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교육이 길러낸 '후기 파시즘'의 사회적 현상

김 교수님은 후기 파시즘이라는 개념을 통해 현대 한국 사회를 분석합니다. ‘후기 파시즘’은 민주주의 사회 내에서, 제도적으로는 민주적인 체제를 유지하지만 사회적 태도나 사고방식에서는 여전히 파시즘적인 성향이 강하게 남아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는 이 문제를 교육 시스템에서 기인한다고 보며, 한국 교육이 우열을 가르고 경쟁을 조장하는 구조를 통해 ‘후기 파시즘’을 낳았다고 주장합니다. 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경쟁에서 이기는 것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이런 사회적 압박은 그들이 권위주의적 태도를 갖게 만듭니다.

트럼프 현상과 한국의 엘리트, 그 유사성

김 교수님은 미국에서 발생한 트럼프 현상과 한국 사회의 문제를 비교하며, 한국의 엘리트들이 보여주는 ‘휴브리스’—즉, 정신병적 수준의 오만함—이 대중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한국에서 정치, 경제, 법조계의 엘리트들이 보여주는 오만한 태도는 대중들에게 큰 불만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로 인해 트럼프와 같은 인물이 등장할 수 있었음을 설명합니다.

교육 개혁의 필요성, 그리고 그 해결책

김 교수님은 한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교육 개혁을 제시합니다. 그가 말하는 교육 개혁은 단순한 교육 내용의 변화가 아니라, 교육의 ‘원리’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쟁과 우열을 강조하는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이 평등하고 자유로운 환경 속에서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그는 독일에서의 교육 개혁 사례를 들며, 경쟁 교육을 부정적으로 보고, 학생들이 개성 있는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결론: 파시즘을 극복하는 교육 시스템을 만들자

김누리 교수님의 강연은 한국 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들을 직시하게 만드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한국 사회는 아직도 파시즘의 잔재와 그 영향을 깊이 내면화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 개혁이 필수적입니다. 교육을 통해 민주주의와 자유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권위주의적 사고를 넘어서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할 때입니다.

이 문제에 대한 성찰과 실천은 이제 우리 모두의 몫입니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 더 성숙한 민주주의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교육이 그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 한국 교육, 파시즘, 후기 파시즘, 김누리 교수, 경쟁 교육, 엘리트주의, 교육 개혁, 민주주의, 권위주의, 교육 시스템 개혁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