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vk7HyMZD7LU
세 나라의 건국 신화: 유사성의 비밀을 파헤치다
목차
- Step 1: 신화의 시작 🌌
- Step 2: 아바 신화와 환웅의 유사성 🔍
- Step 3: 고구려의 주몽 신화 🏰
- Step 4: 고구려와 부여의 관계 🔗
- Step 5: 몽골의 징기즈 칸 신화 🐴
- Step 6: 청나라의 누르하치 신화 🦁
- Step 7: 유사성의 의미 🌍
Step 1: 신화의 시작 🌌
고대 국가들의 건국 신화는 그 나라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국민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건국 신화는 고조선의 단군신화부터 고구려의 주몽신화, 그리고 다양한 민족들의 신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전해져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의 건국 신화와 유사한 몽골과 청나라의 건국 신화를 비교하며 그 의미와 배경을 탐구해 보겠습니다.
우리의 건국 신화에 대한 탐구는 시베리아 평원에서 시작됩니다. 이곳은 브리야트 자치 공화국과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 브리야트 인들은 몽골에 가까운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은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이 샤머니즘에서 탄생한 영웅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아바 신화의 주인공입니다.
Step 2: 아바 신화와 환웅의 유사성 🔍
먼저 시베리아 평원의 브리야트인들은 몽골에 가까운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샤머니즘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습니다. 이 지역의 신화와 전설은 우리나라의 건국 신화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브리야트 신화 중 아바 신화는 하늘신의 아들인 게르와 그의 아들이 악을 제거하기 위해 지상에 내려오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아바 신화의 내용은 하늘 신의 아들인 게르와 그의 아들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늘신 히스는 지상의 악을 제거하기 위해 세를 땅으로 내려보냅니다. 흥미롭게도 아바에 전해지는 이야기는 우리의 환웅 이야기와 매우 비슷합니다.
환웅과 아바의 공통점은 두 영웅 모두 하늘의 둘째 아들로서 인간 여인과 결혼하여 대제국을 건설한 영웅이라는 점입니다. 이러한 유사성은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발견됩니다.
Step 3: 고구려의 주몽 신화 🏰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 신화는 다양한 문헌에 전해집니다. 주몽은 북부여에서 태어나 하늘과 물의 도움을 받아 동부여를 탈출하고 후에 고구려를 건국합니다. 그의 이야기는 이규보의 작품 '동명왕 편'에 가장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주몽은 하늘의 아들이자 해모수의 아들이라는 복잡한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은 고조선의 단군과 관련이 있습니다. 단군과 해모수의 연결고리는 주몽의 신화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몽 신화는 특히 이규보의 '동명왕편'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신화에서는 하늘의 아들인 해모수가 지상으로 내려와 수신의 딸 유화와 사랑에 빠지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주몽이 활을 잘 쏘는 영웅으로 성장하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주몽의 모험과 영웅적인 행적은 고구려의 건국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그의 출생 배경과 하늘의 도움을 받아 강을 건너는 장면은 매우 상징적입니다.
Step 4: 고구려와 부여의 관계 🔗
고구려가 북부여에서 나왔다는 기록은 주몽 신화의 열쇠입니다. 고구려 건국 기원의 60년 후, 중국 사서에서는 부여의 건국 신화가 소개됩니다. 이 기록은 고구려와 부여의 신화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고대 국가의 건국은 여러 부족 집단의 통합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건국신화는 이러한 신성성을 이야기합니다. 주몽의 신화는 부여의 신화뿐만 아니라 고조선의 신화도 포함한 복합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Step 5: 몽골의 징기즈 칸 신화 🐴
몽골의 성지인 할둔 산은 징기즈 칸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에서 전해지는 몽골의 기원 신화는 주몽의 이야기와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주몽의 출생 이야기는 몽골의 신화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몽골 신화에서 여주인공은 남편 없이도 아들을 낳으며, 이는 주몽의 신화와 유사한 점입니다. 이러한 유사성은 두 문화의 연결성을 시사합니다.
Step 6: 청나라의 누르하치 신화 🦁
청나라를 세운 누르하치의 신화 역시 주몽의 신화와 유사합니다. 누르하치의 신화에서는 한 여성이 물에서 태어난 아들을 낳고 이 아들이 나라를 세우는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이는 주몽이 태어나는 과정과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이러한 유사성은 한민족과 만주족, 몽골족의 신화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신화는 각 문화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Step 7: 유사성의 의미 🌍
이러한 신화의 유사성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각 문화의 건국 신화는 그들의 역사와 정체성을 반영합니다. 또한, 이러한 신화는 각 문화의 통합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국 신화의 비밀을 찾는 여정은 단순히 과거를 되짚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역사와 정체성을 이해하고, 잃어버린 과거를 찾아가는 여정입니다. 이러한 탐구는 우리가 누구인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문화를 이어받았는지를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합니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족의 반역자 을사오적의 후손들은 어떻게 살고있을까? (0) | 2024.07.20 |
---|---|
한국 신화 잊혀진 한국 여신 웅녀 이야기ㅣ홍산 문화 곰 토템족의 여신 웅녀ㅣ다큐프라임ㅣ#골라듄다큐 (0) | 2024.07.20 |
조선의 눈으로 본 충격적인 일본의 문화와 조선통신사 (0) | 2024.07.20 |
몽골 초원에 나타나는 고구려 흔적들 : 고구려와 몽골의 깊은 유대관계 - 역사 속 숨겨진 진실 (0) | 2024.07.20 |
타타르족과 몽골의 유럽 정벌: 바투의 유럽 정벌, 킵차크 한국, 우크라이나, 폴란드, 헝가리 정복 (0) | 2024.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