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은퇴 후에도 일하면 연금이 반토막? 알고 보면 '착시 현상'입니다

by 작은비움 2025. 4. 4.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youtube.com/watch?v=YmuZ07MYjB0

실수령액 35만 원? 겉만 보면 무서운 '연금 감액'

은퇴 후에도 경제적 자립을 위해 일하는 많은 이들에게 최근 국민연금 감액 이슈는 적지 않은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유튜브 영상에서 제시된 한 사례는 이렇습니다. 노력연금 100만 원을 수령하던 사람이 은퇴 후에도 소득이 있어 재직자 감액으로 50만 원이 줄고, 여기에 세금과 건강보험료로 15만 원이 추가로 빠지면서 실수령액이 35만 원에 불과하다는 내용입니다.

이렇게 들으면 누가 은퇴 후에 일하려 할까요? 하지만 이 단순 비교에는 두 가지 커다란 오류가 숨겨져 있다는 점에서, 보다 정교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감액 기준은 총소득이 아닌 '소득금액'

첫 번째 오류는 감액 기준이 되는 소득을 '총급여'로 잘못 해석하는 것입니다. 국민연금법 제63조의2에 따르면 감액 기준은 소득금액이며, 이는 총급여에서 필요 경비나 근로소득 공제를 뺀 값입니다. 쉽게 말해, 연봉이 곧바로 감액 기준이 되는 게 아니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 4,800만 원이면 소득금액은 약 298만 원으로 계산되어 평균소득인 A값(2024년 기준 298만 9,237원)을 약간 밑돌게 됩니다. 즉, 감액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연봉이 9,800만 원에 이르러야 겨우 50만 원 감액이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실제 은퇴 후 월 1억 원 가까이 소득이 있는 분들은 많지 않으며, 그럴 정도의 능력자라면 연금 자체도 훨씬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듯 대다수 은퇴자에겐 감액 자체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더라도 그 금액은 매우 적습니다.

연금이 반토막? 가능성은 극히 드뭅니다

두 번째 오류는 감액 대상자의 연금액을 100만 원으로 고정하는 것입니다. 실제 은퇴 후에 월 1억 원 가까운 소득을 올리는 사람이라면, 은퇴 전에도 상당한 고소득자였을 것입니다. 당연히 국민연금 납입액도 많았을 것이며, 이에 따라 수령액도 100만 원을 훨씬 웃돌 가능성이 큽니다.

즉, 연금이 10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줄어드는 사례는 현실적으로 거의 없으며, 예외적으로 사업으로 인생 역전한 경우처럼 드문 경우에나 가능합니다. 실제로 이 사례는 KFC 할아버지를 예로 들어 설명되기도 했습니다.

감액을 피하는 똑똑한 전략, '연기연금'

그렇다면 실질적인 감액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있습니다. 바로 '연기연금' 제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연기연금이란, 연금 수령을 최대 5년까지 미루는 대신, 1년마다 연금액이 7.2%씩 증가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65세부터 수령 가능한 연금을 70세까지 연기하면, 연금액은 36% 증가하며 감액 대상 기간(기준 시점부터 5년)이 지나 소득이 있어도 감액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부는 "5년간 못 받는 손해가 더 크지 않냐"고 묻습니다. 그러나 감액으로 인해 실제 수령액이 줄어든다면, 연기연금의 수익 분기점은 83.9세가 아닌 76.2세로 확 줄어듭니다. 결국 오래 살수록 연기연금이 훨씬 유리해지는 셈입니다.

결론: 불필요한 공포는 이제 그만, 정확한 이해가 먼저

재직자 노력연금 감액 제도는 은퇴 후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이 있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일부 연금을 감액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실제 감액이 적용되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고, 감액되더라도 금액은 소액이며, '반토막'이란 표현은 극히 일부의 특수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현명한 연금 전략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감액 공포에 휘둘리기보다는 소득금액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연기연금 등의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노후 설계를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추천: 국민연금 연기연금 전략 완전 정복

출처: 국민연금공단, 연금부자연구소, 보건복지부 자료 참고

이미지 파일명: pension-income-deduction.jpg
alt 태그: 국민연금 감액 설명을 담은 그래프 이미지


해시태그: 국민연금,연금감액,연기연금,재직자연금,노후소득,연금전략,국민연금개혁,소득금액기준,은퇴소득,연금오해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