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

트럼프의 관세 다음은 환율전쟁?…환율 급변 시대, 우리가 반드시 대비해야 할 것들

by 작은비움 2025. 4. 7.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youtube.com/watch?v=hGm7B-AphQs

트럼프의 관세 부과는 단순한 서막일 뿐이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금 상호 관세를 부과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안겼습니다. 한국에도 25%에서 26%에 달하는 관세가 부과되었고, 베트남, 중국, 대만 등에도 비슷한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단순한 보호무역주의적 조치가 아니라, 미국의 구조적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전략 중 하나로 해석됩니다.

김영익 교수는 이번 관세 부과가 본격적인 '환율전쟁'의 전조라고 분석합니다. 그는 "관세로는 무역불균형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 미국은 달러 약세 정책을 통해 환율을 조정하려 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즉, 달러가치 하락을 유도함으로써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투자금의 귀환을 꾀하겠다는 의도입니다.

환율이 움직이면 경제 패러다임이 바뀐다

이미 시장은 요동치고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는 101.67까지 하락했으며, 엔화와 유로화는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원화도 최근 1,470원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급격한 하락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환율은 단지 수출입 가격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국가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변수입니다. 수출 중심 국가였던 한국과 중국은 이제 내수 중심 경제로 전환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중국은 위안화 강세에 따라 내수 부양책을 강화할 것이며, 한국 또한 비슷한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큽니다. 내수 확대는 일시적으로 성장률을 지탱할 수 있지만, 구조조정이 동반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과 글로벌 자금 이동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 내에서 물가를 상승시키고 소비심리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는 이미 스태그플레이션(물가상승+성장둔화) 징후를 보이고 있으며, 상반기에는 마이너스 성장도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미국은 더 이상 세계의 소비자가 되기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전 세계 수출 주도형 경제 국가들이 미국으로부터 얻던 달러 수익이 감소함을 의미합니다. 김영익 교수는 이 점을 지적하며, "달러로 미국 주식과 채권을 사던 글로벌 자금이 급감할 것이고, 이는 곧 미국 자산시장에도 타격이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환율과 주식 시장의 연계: KOSPI의 재평가

최근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는 코스피 시장의 저평가 매력도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실제로 1~3월간 통계를 보면, S&P500보다 코스피 상승률이 더 높아졌습니다. 김영익 교수는 "앞으로 외국인들이 다시 한국 주식을 사들이면서 환율은 하락하고 코스피는 상승하는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이 같은 흐름은 결국 '환율이 주가를 이끌고 가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자라면 반드시 환율 지표를 주요 투자 판단 기준 중 하나로 삼아야 할 시점입니다.

투자 전략: 변동성 시대의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포트폴리오 구성입니다. 김영익 교수는 "변동성 큰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려면, 주기적인 점검과 리밸런싱이 필수"라고 강조합니다. 그는 이를 위해 구독자 대상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스터디를 개설하였으며, 매주 혹은 매월 시장 상황에 맞는 전략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포트폴리오는 단순한 분산투자가 아니라, 경제 흐름을 반영한 전략적 자산배분(SAA)과 전술적 자산배분(TAA)을 병행하는 접근이 요구됩니다. 특히 환율 변화가 본격화되는 시점에서는 외화자산, 해외주식, 금 등 안전자산 비중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환율의 시대, 이제는 관세가 아니라 환율이다

트럼프의 관세 전쟁은 단지 시작일 뿐이며, 그 본질은 '환율 조정'에 있다는 것이 김영익 교수의 분석입니다. 그는 미국의 달러 약세 유도 정책이 글로벌 자산시장과 통화가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한국은 이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반드시 환율 변동성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며, 단기 투자 수익보다는 장기적 관점의 자산배분 전략에 집중해야 할 시점입니다. 실물 경제가 흔들릴 때, 현명한 포트폴리오 구성만이 당신의 자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 트럼프 관세, 환율 전쟁, 달러 약세, 자산배분 전략, 김영익 교수, 코스피 상승, 수출 경제 구조, 미국 스태그플레이션, 달러 인덱스 하락, 환율 변동성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