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JGW8c7spbXQ
"올해도 집값 오른다" 실전 투자자의 강력한 메시지
2025년 부동산 전망 강의에서 실전 투자자이자 강연자는 단호하게 말합니다. **"올해도 상반기 안에 집 사야 한다"**고 말이죠. 그는 2024년에도 서울 집값이 상반기부터 반등할 것이라 정확히 예측했으며, 실제로 수많은 케이스 스터디에서 평균 대비 2배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은 강의 직후 10% 오른 후에도 "아직 싸다"고 언급했고, 실제로 32% 상승했습니다.
이 모든 수치는 단순한 예측이 아닌 실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그가 말하는 핵심은 명확합니다. “상저하고? 아니, 상사(상반기 사고 하반기 관망)입니다.”
모든 전문가가 말하는 '상저하고'… 그러나 그 말이 함정이다?
2025년을 예측하는 거의 모든 기관, 언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합니다. **"상반기 저점, 하반기 고점"**이라고요. 그러나 강사는 이 통념에 반기를 듭니다. 지난 몇 년간의 시장 흐름을 보며 말하죠. 실제로 상반기 반등 → 하반기 조정 → 다시 상반기 반등의 패턴이 반복되고 있으며, 그 틈을 놓친 사람들은 하반기에 물리는 결과를 겪었다고 경고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올해도 분명히 말합니다. 상반기 안에 알아보고, 매수 타이밍을 잡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집값을 결정짓는 '진짜' 요소는? 금리도 아닌, 소득도 아닌 '통화량'
그는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을 통화량이라고 강조합니다. 금리나 소득 대비 주택가격(PIR) 등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현실에서, 통화량 증가는 곧 자산가치 상승을 의미하며, 1984년부터 지금까지 통화량은 줄곧 상승 중입니다.
그는 이런 점을 들어 **“집값이 오르는 것이 정상이고, 안 오르는 게 비정상”**이라고 단언합니다. 특히 2023년 이후 통화량은 다시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서울 아파트 매매 지수도 동반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공급 부족과 정책 딜레마… 가격 상승은 필연이다
2025년부터는 서울뿐 아니라 경기, 인천 전역까지 공급 부족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2024년까지는 서울만 부족했지만, 이제 수도권 전체가 부족세에 들어섰고, 이는 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요인이 됩니다.
더 큰 문제는 정부 정책입니다. 정부는 경기부양과 가계부채 관리 사이에서 양면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상반기에는 대출 규제 완화, 특례보금자리론 등으로 시장을 부양하면서, 하반기에는 DSR 3단계로 다시 조이려는 흐름이 예상됩니다. 결과적으로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은 출렁일 수 있지만, 큰 흐름은 상승이라는 것입니다.
지방은 정말 안 오를까? 실전 투자자의 반론
많은 전문가들이 **"서울은 오르고, 지방은 떨어진다"**고 예측하지만, 강사는 이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는 다주택자 규제 완화가 본격화되면, 서울에만 몰리던 자금이 지방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특히 공급 부족이 심화되는 지방 도시들도 다시 반등할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결국 중요한 건 "심리"와 "감"이다
모든 수치와 데이터를 분석한 후, 그는 강조합니다. **“부동산은 종합 예술이며, 최종적으로 중요한 건 심리와 감”**이라고요. 2025년 시장 키워드로 그는 금리, 통화량, 유동성, 대출, 공급, 그리고 심리를 꼽았습니다.
특히 시장은 정책에 반응하는 개인들의 심리에 따라 급격히 변동되며, 그 변곡점을 먼저 감지하는 이들이 결국 승리한다는 메시지를 던집니다.
결론: 2025년 부동산, 늦기 전에 상반기 안에 알아보고 움직이자
2025년 부동산 시장의 핵심은 단 하나입니다. 상반기 안에 반드시 움직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공급 부족, 통화량 증가, 정책 변화, 금리 인하 등 모든 요소가 상승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지금이야말로 매수 타이밍을 노릴 때입니다. 너무 늦지 않게, 상반기 안에 본격적인 분석과 실질적인 매수를 준비해야 할 때입니다. 또한, 다주택자 규제 완화 여부에 따라 지방 시장도 큰 기회가 될 수 있으니 분산 투자 전략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 2025년 부동산 전망, 상반기 집값, 통화량 증가, 금리 인하, 공급 부족, 다주택자 규제, 대출 정책, 수도권 부동산, 지방 부동산 반등, 실전 투자 전략
'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출 받아 최고가에 질렀는데… 세종시 아파트, 반토막 난 현실의 민낯 (0) | 2025.03.18 |
---|---|
2025년 대출 시장, 지금이 기회다…정부가 풀어놓은 대출의 문, 곧 다시 닫힐 수 있다 (0) | 2025.03.18 |
월세 0원, 은행 대출 150억…유명 탤런트 부부가 매달 4,700만원을 쌩돈으로 날리는 이유 (1) | 2025.03.18 |
현대건설 10만 채 아수라장! 농협은행 깡통대출 터진 충격적 현실 (0) | 2025.03.18 |
토지거래허가제 완화가 불러온 서울 집값 반등, 대출까지 흔들리다 (0) | 2025.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