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

TSLA와 NVDA 반등, 진짜 추세 전환일까? 기술적 분석으로 보는 미국 주식 차트 흐름

by 작은비움 2025. 4. 1.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youtube.com/watch?v=UAd2nXnKzrY

나스닥 선물의 저항과 기술적 반등 가능성

영상 초반에서 꿀바님은 나스닥 선물 차트를 시간봉 기준으로 분석하면서, 전날의 반등이 저항선에 막혔고, 현재 조정이 진행 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기적인 기술적 반등의 관성이 작용하고 있는 흐름으로 해석되며, 이전 하락파동(1-2-3-4-5-ABC 조정)의 관점에서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자리라고 보았습니다.

특히 19,270 지점에 도달하면 TQQQ의 2차 매수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지선에서의 반등 가능성을 염두에 둔 전략이며, 나스닥 선물이 19,850~20,000선을 돌파하고 양봉으로 안착할 경우, 추세 전환의 가능성이 커진다는 분석입니다.

QQQ: 기술적 반등 중에도 약한 RSI 흐름

QQQ는 8일을 기점으로 반등 중이나, 467~468선의 저항에 막힌 상태입니다. 볼린저 밴드를 하방으로 찢으며 하락 중이고, RSI 다이버전스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점에서 약세 흐름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영상에서는 QQQ보다는 TQQQ, 혹은 변동성이 낮은 QLD, SSO와 같은 상품을 분할매수 방식으로 접근하는 전략이 안정적이라고 조언합니다. 추세 전환의 신호로는 496~497선을 돌파해 안착하는 것을 제시하며, 그 이전까지는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테슬라(TSLA): 급락 후 반등, 그러나 아직은 경계할 구간

테슬라는 전일 7%에 가까운 강한 반등을 보였지만, 이는 급락 이후 급등이라는 불안정한 흐름으로, 추세 전환보다는 기술적 반등의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특히 240선은 과거 강한 지지선이었으나 이를 한 번에 이탈했기 때문에, 다시 이 지점에 안착해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

단타 전략으로는 270선 부근에서 숏 포지션 진입을 고려할 수 있는 구간으로 보았으며, 반등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선 거래량 증가도 함께 확인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엔비디아(NVDA): 122~130 달러 선이 관건

엔비디아는 122달러 부근의 저항선 돌파 여부가 단기 추세 전환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구간은 24일 이동평균선과 파란 추세선이 겹치는 영역으로, 기술적 의미가 큽니다. 만약 돌파에 성공한다면, 130달러 부근까지도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TSLA와 마찬가지로 상승 다이버전스 없이 반등하고 있어, 이는 긍정적인 흐름으로 보기엔 부족하며, 단기 반등 후 다시 조정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SOXL와 반도체 관련 ETF: 반등은 있으나 인상적이지 않아

SOXL 역시 박스권 저항을 넘지 못한 상태로, 단기 조정이 끝났다고 보기 어려운 흐름입니다. 다만 보라색 박스권 상단을 돌파하고 안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추세 전환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현재는 보수적으로 접근하되, 변곡점이 확실히 형성된 뒤 진입하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애플(AAPL): 아직도 추세는 약세, 기술적 반등의 확률은 높음

애플은 지속적인 조정을 이어가고 있으며, 반등이 나온다 해도 220~225 부근에서 저항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다만 일봉 기준으로 이틀 연속 볼린저 밴드 하단 바깥에 위치한 만큼, 통계적으로 반등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따라서 단기 트레이딩 관점에서는 반등을 노려볼 수 있고, 중장기 매수 관점에서는 조금 더 기다렸다가 매수 타이밍을 보는 것이 낫다는 입장입니다.

결론: 지금은 분할 매수와 심리적 안정이 핵심

영상의 전반적인 메시지는 단기적으로 기술적 반등이 나올 가능성은 높지만, 추세 전환을 확신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것입니다. 특히 TSLA, NVDA 모두 다이버전스 없이 급락 후 반등 중이라는 점에서, 추격 매수는 자제하고 저항선을 돌파한 후 안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시장은 심리적으로 '완전한 절망'의 구간은 아니며, 반등 중 데드캣 바운스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분할 매수 전략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중요한 지지선과 저항선을 체크하는 차분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관련 키워드: 미국주식,기술적분석,TSLA,NVDA,TQQQ,SOXL,QQQ,애플,AAPL,주식반등,나스닥분석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