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세무상담2 실무자가 알려주는 부가가치세 신고, 댓글 질문 모아 핵심 정리! https://www.youtube.com/watch?v=x-L7xCgQC04사업자등록번호가 없으면 신고 안 해도 되나요?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다는 것이 사업자등록 자체가 안 되어 있는 상태라면, 부가가치세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홈택스 화면에서 사업자등록번호가 보이지 않는 경우라면, 로그인을 사업자 계정으로 하거나 등록번호가 있는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수입이 100만 원도 안 됐는데 무실적 신고해도 되나요?무실적 신고는 매출과 매입이 모두 0원일 경우에 해당됩니다. 수입(매출)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무실적 신고는 불가하므로 매출에 맞춰 신고해야 합니다.이미 세금 납부 후 신고를 다시 했는데 차액은 어떻게 하나요?신고는 기한 내에는 여러 번 가능하며, 초과 납부한 세.. 2025. 3. 24. 2024년 해외주식 증여 절세 전략: 올해 안에 증여를 완료해야 하는 이유 해외주식은 주식 양도차익이 250만 원을 넘는 경우 양도소득세 22%가 부과됩니다. 이를 절감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주식이 오를 때 배우자나 자녀에게 증여하여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전략이 있습니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이 전략을 더 신중히 고려해야 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세법 개정안에 따라 내년부터 해외주식도 '이월과세' 규정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내년부터 달라지는 주식 이월과세이월과세는 증여받은 자산을 양도할 때 증여받은 가액이 아닌, 증여자의 취득가액을 기준으로 양도차익을 계산하는 규정입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식에게 주식을 증여한 후 자식이 이를 팔 때, 부모가 그 주식을 취득한 가액을 기준으로 양도차익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되면 증여를 통해 양도차익을 줄이는 방식이 어.. 2024. 9.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