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형이상학2

우리가 아는 성리학은 틀렸다 | 도올 김용옥의 성리학 개론 https://www.youtube.com/watch?v=gaT5U4EW9wA&t=12s 성리학은 단순한 유교의 연장선이 아니라 불교적 사상이 깊이 스며든 유교의 한 갈래라고 할 수 있다. 도올 김용옥은 이를 ‘불교화된 유교’라고 표현하며, 성리학의 등장으로 인해 중국 문명이 완전히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설명한다. 기존의 일상 예절 중심에서 벗어나 인간 본성과 우주의 원리를 탐구하는 철학적 사유가 등장한 것이다.성리학의 기원: 불교와 유교의 융합수·당 시대를 거치며 중국은 불교 영향권에 깊이 들어갔다. 이후 송나라 시기에 불교적 개념을 유교에 접목시키면서 성리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중국인들에게 유교는 원래 실용적인 삶의 철학이었지만, 불교의 영향을 받아 형이상학적인 논의가 강조되었다.성리학은 인간의.. 2025. 1. 29.
존재에 대한 관점을 뒤엎는 '천재 철학자'의 최신 이론 (feat. 마르쿠스 가브리엘 '허구의 철학') https://www.youtube.com/watch?v=BZOiLtJnICQ&t=14s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은 철학적 사고와 과학적 탐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화해 왔습니다. 존재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진짜'로 간주하며, 무엇을 허구로 여기는가? 이 질문은 오래된 철학적 주제지만, 독일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저서 허구의 철학은 이 질문에 대해 신선하고 급진적인 관점을 제시합니다. 가브리엘은 우리가 믿고 있는 많은 것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반대로 허구로 간주되는 것도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는 실제로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이를 '의미장 존재론'이라는 독특한 이론으로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모든 대상은 특정한 '의미장'(Field of Sense) 안에서만 존재하며.. 2024. 11. 2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