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0ubamQkqTwo
외도한 배우자 중 절반은 "내가 왜 잘못이야?"
이혼 전문 박은주 변호사는 충격적인 통찰을 전합니다. 외도를 한 당사자들 중 절반 가까이가 "내가 그렇게까지 잘못한 건 아닌데 왜 이혼까지 가야 하나?"라며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단순히 반성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뇌의 인식 구조 자체가 왜곡되었다고 합니다. 원래는 괜찮은 남편, 괜찮은 아내였던 사람이 외도를 계기로 급격히 변화하는 것이죠.
외도 이후 이들은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며, 과거 결혼 생활 전체를 부정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나는 원래 불행했다", "이혼이 정답이었다"는 식으로 과거를 왜곡하며 현재의 외도를 정당화하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나르시스트 외도자의 5가지 치명적인 특징
외도자 중에서도 특히 나르시스트 성향을 가진 이들은 몇 가지 공통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피해자 입장에서는 1차적인 외도 충격보다 더 깊은 2차적 정신적 피해를 유발하는 이들의 특징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 부족
이들은 외도를 저지르고도 배우자의 고통에 대해 거의 공감하지 못합니다. 처음엔 잠깐 미안한 척을 하지만, 곧장 자신의 감정과 입장에만 몰입합니다. "나는 사랑하는 사람이 생겼다"는 이유로 고통받는 자기 자신만을 바라보며, 배우자의 아픔은 철저히 외면합니다.
2. 책임 전가: "다 네 잘못이야"
가장 전형적인 반응은 책임 전가입니다. "네가 나에게 관심을 안 줘서 그랬다", "네가 그렇게 말해서 내가 외도를 하게 됐다"는 식으로, 모든 문제의 원인을 배우자에게 돌립니다. 나아가 "내가 조용히 끝내려 했는데 네가 일을 키웠다"며, 외도가 아닌 배우자의 대응을 문제 삼습니다.
3. 외도를 대수롭지 않게 여김
나르시스트 외도자들은 자신의 행위를 가볍게 여깁니다. "남자는 그럴 수도 있지", "내가 돈 잘 벌어다 주는데 뭐가 문제냐"며, 사회적·도덕적 책임감을 완전히 배제한 태도를 취합니다. 이는 피해자에게 엄청난 무력감과 혼란을 안깁니다.
4. 비판에 대한 극심한 반발
이들은 자신에 대한 비판을 전혀 수용하지 못합니다. 배우자나 주변인이 외도에 대해 비판하면, "그 정도로 욕먹을 일이냐", "요즘 누가 안 그러냐"며 되려 역공을 가합니다. 이는 과거 부부 싸움에서도 나타났던 특징으로, 갈등의 근본 원인을 자신이 아닌 상대방이나 외부에 두는 성향이 강합니다.
5. 과도한 자기 우월감
외도를 통해 오히려 자신감을 얻는 경우도 많습니다. "나 정도니까 가정도, 애인도 다 가진다"는 식의 왜곡된 자기 우월감에 빠져 있는 것이죠. 이런 사람들에게 도덕적 기준이나 죄책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외도를 정당화하는 무책임한 논리들
나르시스트 외도자들은 외도를 정당화하기 위해 부부관계 자체를 부정합니다. "우린 원래 문제 많은 부부였다", "원래 이혼할 생각이었다"는 말로 외도를 정당화하고, 배우자에게 "너도 문제 많다"며 가스라이팅까지 시도합니다. 심지어 주변 지인의 말을 인용하며 상대를 심리적으로 흔들기도 합니다.
이들은 인간관계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믿으며, 배우자든 외도 상대든 본인이 원하면 끝낼 수 있고, 원하면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피해자에게는 말 그대로 심리적 폭력입니다.
진심으로 반성하는 외도자도 있다
반면, 모든 외도자가 동일한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박은주 변호사는 외도 사실이 단 한 번이고, 진심으로 잘못을 반성하며 무릎 꿇고 사과하는 배우자의 경우, 한 번의 기회는 고민해볼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죽은 듯이 살겠다"며 간절하게 용서를 구하는 태도는, 재발 방지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최소한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나르시스트 유형의 외도자는, 본인의 외도에 대해서도 "내가 왜 이혼까지 해야 하느냐"는 태도를 보입니다. 이런 경우, 관계 회복보다는 정신적 독립과 법적 정리가 우선이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많습니다.
결론: 외도보다 더 무서운 건 외도자의 태도다
외도 자체도 치명적이지만, 피해 배우자들을 더 깊이 절망하게 만드는 건 외도 이후 드러나는 외도자의 태도입니다. 특히 나르시스트 성향의 외도자는 피해자의 상처 위에 가스라이팅, 책임 전가, 감정 무시, 자기 우월감이라는 추가 상처를 덧씌웁니다.
이혼을 고민하는 많은 이들은, 외도의 사실보다도 그 이후의 태도를 보고 마음을 굳힌다고 합니다. 만약 당신이 이런 상황에 처해 있다면, 상대방의 반응을 면밀히 분석하고, 자신의 감정을 보호할 수 있는 결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키워드: 나르시스트 외도, 외도 배우자 특징, 외도 이혼 사유, 외도 가스라이팅, 배우자 책임 전가, 외도 공감 부족, 외도 자기합리화, 외도 우월감, 외도 후 태도, 이혼 전문 변호사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매매한 배우자와의 혼인, 왜 회복이 어려운가? (0) | 2025.04.03 |
---|---|
이혼 소송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증거 수집과 재산 은닉의 현실적 전쟁 (0) | 2025.04.03 |
2024 이혼소송 트렌드: 형사소송을 곁들인 새로운 시대의 이혼 (0) | 2025.04.03 |
"각서 한 장에 인생이 무너질 수 있다" 상간 위약벌 소송 당하는 3가지 유형 (0) | 2025.04.03 |
OO법원 이혼판결에 유난히 항소가 많은 충격적인 이유 (0)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