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Yexi3fYvYBA&t=128s
노후 빈곤 현실, 3층 연금체계가 절실하다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여성 85.6세, 남성 79.9세이며, 2030년에는 각각 88.1세, 82.8세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년이 60세인 점을 감안하면, 퇴직 이후 최소 20~30년의 생활을 준비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회원국 평균(14.2%)의 거의 세 배에 달합니다. 2009년 이후 계속해서 노인 빈곤율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는 사실은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구성된 3층 연금체계를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으로 기본 생활, 퇴직연금으로 안정적 노후생활, 개인연금으로 여유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조입니다.
퇴직연금 제도, 무엇이 다른가?
퇴직연금은 회사가 임직원의 퇴직금을 금융기관에 적립해 퇴직 시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B형(확정급여형): 회사가 운용 책임을 지며,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 × 근속연수로 퇴직급여가 산정됩니다.
- DC형(확정기여형): 회사가 일정 부담금을 납입하고, 근로자가 직접 투자상품을 운용합니다. 퇴직급여는 부담금 + 운용 수익으로 결정됩니다.
- IRP(개인형 퇴직연금): 개인이 자율적으로 가입하거나 퇴직금 수령 후 계좌에 정립하여 운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또한 기업형 IRP, 표준형 DC 등 다양한 형태가 있어 기업 규모에 따라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DB형과 DC형, 뭐가 유리할까?
항목 DB형 DC형
퇴직금 산정 기준 | 퇴직 직전 3개월 평균임금 | 부담금 + 운용 수익 |
운용 주체 | 회사 | 근로자 개인 |
책임 주체 | 회사 | 근로자 개인 |
중도 인출 | 불가능 | 가능 (법정 사유 시) |
유리한 경우 | 장기근속, 임금 상승률 높은 경우 | 투자성향 강함, 수익률 기대 높은 경우 |
DB에서 DC로의 전환은 가능하지만, DC에서 DB로의 전환은 불가하므로 선택 시 신중해야 합니다.
개인형 IRP, 절세 혜택까지 잡자!
IRP는 재직 중 자율 가입이 가능하며, 퇴직금 수령 후에도 운용이 가능합니다. 세액공제 한도는 최대 연 900만 원이며, 연말정산 시 근로소득자라면 최대 148만 5,000원, 고소득자도 최대 118만 8,000원의 절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IRP 계좌에서 운용되는 수익은 수령 시까지 과세 이연되어 복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퇴직소득세를 차감하지 않은 금액으로 운용이 가능해 실질 투자금이 늘어납니다.
퇴직연금 과세 체계, 3단계로 이해하자
- 부담금 납입 단계: 가입자 부담금은 세액공제 적용
- 적립금 운용 단계: 운용 수익은 과세 이연
- 퇴직급여 수령 단계:
- 일시금 수령 시: 퇴직소득세 전액 납부 + 기타소득세 부과
- 연금 수령 시:
- 퇴직소득세 일부 감면(10년 이하 수령 시 70%, 초과 시 60%)
- 세액공제분과 수익은 연금소득세(55
80세 기준 5.53.3%)
특히, 연금으로 수령 시 절세 효과가 크며, 소득 수준에 따라 종합소득 합산/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도 존재합니다.
퇴직연금의 부가 서비스도 주목!
KB국민은행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스타뱅킹 앱을 통한 실시간 수익률 조회, 상품 매매, 알림 서비스
- 자산관리 컨설팅센터의 비대면 상담 서비스
- 복지몰, 수수료 우대, 환율 혜택 등 주거래 고객 우대 서비스
- KB스타연금 유튜브 채널을 통한 퇴직연금 정보 제공
결론: 연금 설계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이제 퇴직연금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평균수명 80세 시대, 퇴직금은 단순한 일시금이 아니라 노후의 생명줄이 되어야 합니다.
DB형, DC형, IRP의 장단점을 충분히 파악하고, 절세 전략까지 고려한 연금 설계를 시작해보세요. 투자 성향에 따라 전략을 세우고, 부가 서비스까지 적극 활용하면 안정적인 노후 생활이 가능합니다.
앞으로도 퇴직연금 제도와 활용법에 대한 꾸준한 공부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IRP 활용 전략과 포트폴리오 구성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퇴직연금, 지금부터 준비해야 진짜 든든해집니다.
퇴직연금,퇴직연금 제도,확정급여형,확정기여형,IRP,퇴직연금 과세체계,연금소득세,DB형 DC형 차이,퇴직금 세액공제,KB국민은행 퇴직연금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제도 선택, DB, DC, 푸른씨앗 중 무엇이 적합할까? (0) | 2025.03.23 |
---|---|
퇴직금 5억으로 평생 돈 걱정 끝내는 법 "가장 확실한 노후준비 딱 1가지 알려드리죠" (ft. 대기업 현직 30년차 실수령액) #돈쭐남 #김경필 (0) | 2025.03.23 |
여러 개 연금 계좌, 369 전략으로 세금도 절세하고 수익도 극대화하는 법 (0) | 2025.03.23 |
2025년 연금저축 이벤트, 어디 증권사가 제일 유리할까? 한 끗 차이로 상품권 최대 100만원까지 받는 전략! (0) | 2025.03.23 |
DC형 퇴직연금 소급가입, 부담금 납입은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