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

짧게 끝나지는 않을 관세협상, V자 반등 이번에는 어려운 이유

by 작은비움 2025. 4. 9.
728x90
반응형
SMALL

https://www.youtube.com/watch?v=9XaD1DcTarI

강대강 충돌…중국의 강경한 보복 관세, 트럼프의 추가 압박

이번 무역 전쟁은 단순한 경제 분쟁이 아닙니다. 중국은 자국 기업에 피해가 있더라도 미국 전 제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도 이에 맞서 50% 추가 관세를 예고했고, 유럽까지 확산 조짐을 보이면서 무역 전선은 글로벌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중국에 부과되는 총 관세가 104%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사실상 세계 경제 침체의 신호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협상 타결과 연준 개입, 시장이 기대는 두 가지 희망고리

현재 시장은 세 가지 시나리오로 나뉘고 있습니다.

  • 시나리오 1: 협상 타결 + 연준의 선제 대응
    • 전고점 회복 가능
    • 현재 하단에서의 반등 기대
  • 시나리오 2: 협상 또는 연준 한 쪽만 대응
    • S&P500 5,900선 반등 가능
    • 하단은 좀 더 열려 있음
  • 시나리오 3: 협상도 연준도 없음
    • PER 16배까지 추가 하락 가능
    • S&P500 5,000 이하로 지속 하락 전망

투자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언제까지 얼마나 빠지냐'에 대한 답은 결국 두 변수에 달려 있습니다. 트럼프의 태도 변화 혹은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그 외에는 기대할 만한 구체적인 동력이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실물 침체 전,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가 먼저 꺾인다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조건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주식 시장의 급락, 또 하나는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의 하락입니다. 현재 첫 번째 조건은 이미 충족된 상황입니다. VIX(변동성 지수)가 50을 넘은 것은 코로나19, 2008년 금융위기, 2000년 닷컴버블과 같은 전례에서만 나타났던 극심한 공포 국면입니다.

두 번째 지표인 기대 인플레이션(5년 스왑 수치)은 아직 과거 침체기 대비 100~150bp 높은 수준입니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시장이 추가 충격을 받아야 하며, 이는 실물 경제보다 먼저 나타나는 심리적 지표이기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협상…U자형 회복 가능성

이번 사태는 단기간 협상으로 끝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베트남, 유럽, 중국 등 여러 국가들과의 협상이 얽혀 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강경 발언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년 무역 전쟁 당시에도 결국 주가가 급락하고 정치적 압박이 높아져서야 톤다운이 시작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반등이 V자형이 아닌, 바닥이 길게 이어지는 U자형 회복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협상은 지지부진하게 이어지고, 연준의 대응도 빨라야 6월쯤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트럼프의 진짜 속내? 제조업 부흥보다 금리 인하 압박?

관세 정책의 목적이 제조업 부흥이라고는 하나, 현실적으로 미국 내로 공장을 이전하는 기업은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세수 확보도 실현 가능성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시장 일각에서는 트럼프의 진짜 목적이 연준의 금리 인하 유도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강한 경기 침체를 유도해 연준의 조기 대응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자국 내 AI·테크 산업 투자 확대를 도모하려는 계산이라는 해석입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불확실성을 키우고, 미국 시장의 신뢰를 훼손하며 오히려 더 큰 리스크를 만들고 있습니다.

결론: 지금은 전망보다 대응의 국면

현 시점은 전망보다는 대응의 국면입니다. 급락장 속에 손실을 감내하면서도 빠져나올 타이밍을 고민해야 하며, 시장에 머물러 있는다면 하단과의 거리보다는 기간을 견디는 전략이 요구됩니다.

협상 가능성, 연준의 태도 변화 등은 하루가 다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CPI, PPI 등 경제지표의 의미도 5월 이후부터 커질 것으로 보이며, 기대 인플레이션의 하락 여부에 따라 연준의 선제 대응 가능성도 점쳐질 수 있습니다.

불확실성의 시기,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준비와 대응력입니다. 단기간에 끝날 이슈가 아닌 만큼, 투자자들은 장기적 시야와 인내심을 바탕으로 시장을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 관세 협상, 트럼프 관세 정책, 중국 보복 관세, 연준 금리 인하, 기대 인플레이션, 증시 침체, VIX 지수, 무역 전쟁, 시장 반등 시나리오, 미국 제조업 부흥

728x90
반응형
LIST

댓글